최종보고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준실험설계를 통한
대통령 궐위선거 선거기간 축소의 영향 분석
행정학과 박사과정
2025-35530 송현기
I. 서 론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는 대통령 탄핵에 따른 궐위선거로 실시되었다. 헌법 제68조제2항은 “대통령이 궐위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고 규정하고 있어 대통령선거의 실질적 기간은 60일로 축소되었다. 임기만료에 의한 대통령선거의 예비후보자 등록이 선거일 전 240일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볼 때 후보자들이 본인들을 알릴 시간이 거의 4분의 1로 줄어든 셈이다. 이는 후보자들과 상관없이 법 제도에 의해 줄어든 것으로 외생적 요인에 의해 단축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이러한 외생적 선거기간 단축은 정당 후보자 사이에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국민 인지도를 이미 확보한 더불어민주당의 이재명 후보나 국민의힘의 김문수 후보와 같은 거대정당 소속 후보자들은 선거기간 단축이라는 외생적 충격에 있어 선거운동 전략을 변화시킬 유인이 비교적 적다. 반면, 개혁신당의 이준석 후보나 민주노동당의 권영국 후보처럼 인지도가 낮은 군소정당 소속 후보자들에게는 동일한 외생적 충격이 선거운동전략을 변화시키는 강한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선거기간 단축 전후를 기준으로 한 선거운동 전략의 변화(차이)를, 거대정당과 군소정당이라는 두 집단 간 차이와 교차하여 살펴봄으로써 대통령 궐위선거로 인한 선거기간 단축의 차별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거기간의 단축이 선거운동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임기만료 상황에서 실시된 2022년 제20대 대선을 사전 시점으로,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탄핵으로 인해 궐위선거로 실시된 2025년 제21대 대선을 사후 시점으로 설정하여 비교하려고 한다. 특히 궐위선거와 같은 예기치 않은 정치적 사건은 모든 후보자에게 일정한 시간적 압박(pressure)을 부과하지만, 그 영향은 정당의 규모나 위상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에 선거기간 단축으로 인한 시간적 압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선거운동 전략의 변화를 종속변수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선거운동 전략의 변화는 선거비용 지출 항목의 구성 비중, 온라인 광고 활용 여부, 오프라인 유세 활동의 빈도 등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지표를 통해 파악할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분석의 논리적 기반 위에서, 궐위선거라는 외생적 사건이 없었더라면 모든 후보자들이 기존의 선거운동 전략을 유지했을 것이라는 counterfactual 상황을 전제로 한다. 이를 통해 실제로 궐위선거가 발생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그리고 선거 전후 시점 간의 전략 변화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시간적 압박이 선거운동 전략에 미친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궐위선거라는 사건이 없었다면 나타나지 않았을 전략적 변화가 특정 집단에서 유의하게 관찰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외생적 충격이 선거운동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통령 궐위로 인한 외생적 시간 제약이 후보자들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향후 유사한 선거 제도 환경이나 위기 상황에서의 선거관리 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정당 간 대응 여건의 불균형이 선거의 공정성에 한계를 초래할 수 있음을 드러냄으로써, 궐위선거 기간의 재설정, 군소정당의 기회 보장, 선거운동 환경의 형평성 제고 등을 위한 제도적 논의로 확장될 가능성도 함께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I. 선행연구 고찰
1. 선거운동의 이론적 기초
선거운동(electoral campaign)이란 후보자나 정당 입장에서 선거승리를 목적으로 유권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설득하는 조직화된 활동을 의미하며(Farrell & Schmitt-Beck, 2002: 128), 후보자들은 유권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공개 연설이나 집회부터 대중 매체 광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법을 선거운동 목적으로 활용한다(AC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n.d.)).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은 당선되거나 되게 하거나 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행위를 의미하며, 선거에 관한 단순한 의견개진 및 의사표시, 입후보와 선거운동을 위한 준비행위, 정당의 후보자 추천에 관한 단순한 지지·반대의 의견개진 및 의사표시, 통상적인 정당 활동, 의례적인 인사말을 문자메시지(그림말ㆍ음성ㆍ화상ㆍ동영상 등을 포함)로 전송하는 행위 등은 선거운동으로 보지 아니한다(공직선거법 제58조 제1항).
선거운동은 후보자가 유권자에게 자신의 정책과 비전을 전달하고 상호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핵심적인 민주주의 실천전략이다. 동시에 선거운동은 공정한 경쟁 질서를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틀 속에서 운영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공직선거의 공정성 확보는 매우 중요하다. 음선필(2016)은 민주체제에서 선거는 당연히 경쟁적 선거이므로 정당 및 후보자에게는 정치적 경쟁의 자유가 공정하게 보장되어야 하고 선거권자에게는 선택의 자유가 확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음선필, 2016: 92).
일반적으로 소수정당은 인적 및 물적 자원이 제한되는 이유로 후보자를 많이 입후보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비용이 적게 드는 방식의 선거운동을 찾아 시도하는데(음선필, 2016: 96), 인터넷은 기존의 텔레비전 같은 구식 매체보다 소수 정당에게 더 나은 선거운동 도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새로운 사회운동들을 연결하고 협력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네트워킹 수단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Norris, 2000: 5).
선거운동 기간 자체가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후보자의 성공 여부는 자금력과 경험, 지역 정당 지지 기반 등 다른 요인에 더 크게 좌우되므로 선거기간을 연장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경쟁이 활성화되거나 도전자의 승률이 올라가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다(Panagopoulos, 2013: 72). 다만, 물리적 선거기간이 길수록 후보자와 정당은 유권자에게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가지게 될 수 있는 점은 분명하므로 이의 연관관계가 아주 무관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고, 아마도 선거기간이 짧아질 경우 메시지 전달 기회가 제한되고, 후보자들은 시간적 제약 속에서 핵심 지지층을 선별적으로 공략하거나 온라인 플랫폼에 의존하는 등 전략을 조정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Stevenson & Vavreck은 시간이 곧 정보이며 선거운동의 기간(length)는 유권자들이 중요한 선거 정보를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유권자의 무관심이나 냉소주의 증가를 이유로 선거운동 기간 단축을 주장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Stevenson & Vavreck, 2000: 234).
2. 대통령 궐위선거의 의미
헌법 제68조는 대통령 선거일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인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의 경우 70일 내지 40일 전에 후임자를 선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반면,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궐위선거란 선거로 선출된 대통령이 임기 중 그 직위를 상실하여 공석이 되었을 때(궐위), 새로이 대표를 선출하기 위해 새로이 실시하는 선거이다. 지난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 결정에 의해 윤석열 대통령이 탄핵되었고 이에 궐위선거 요건이 충족되어 60일 이내로 선거일이 결정되었다.
임기만료 선거의 경우 대통령 선거일을 사전에 알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일찍 선거 준비를 할 수 있다. 공직선거법 제60조의2에 따라 선거일전 240일 전부터 예비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그 기간부터 선거사무소 설치, 선거운동용 명함 배부, 예비후보자홍보물 작성·발송(전국 세대수의 10%에 해당하는 수 이내), 어깨띠 또는 표지물 착용·소지, 예비후보자 공약집(1종) 발간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판매(방문판매는 제외) 등의 방법으로 선거운동을 할 수 있다. 반면, 대통령 궐위선거의 경우 60일 내 예비 후보자 및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선거운동을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상 매우 촉박하게 된다.
임기만료 선거와 궐위선거 모두 후보자 등록은 선거일 전 24일부터 2일간이며, 따라서 실질적 선거기간은 23일이다(공직선거법 제33조). 군소정당 후보자의 경우 예비후보자 등록 이후 본인을 알리는 기회를 비로소 가지게 되지만 궐위선거의 경우 60일부터 24일까지 36일 남짓 밖에 주어지지 않으며 이는 임기만료 선거의 240일부터 24일까지 216일에 비해 6분의 1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시간적 압박(pressure)이 매우 강해진다.
결국, 이러한 궐위선거는 모든 후보자에게 동시에 적용되는 외생적 사건이지만 그로 인한 시간적 압박은 군소정당 후보자와 거대정당 후보자에게 차별적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음선필(2016)이 언급한 선거권자의 정치적 지지를 획득하고자 하는 정당 및 후보자간의 경쟁이 금력, 권력 등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특정 정당·후보자에게 치우치지 않아야(impartial, unprejudiced) 한다는 주요 원칙을 깰 수 있다(음선필, 2016: 93).
3. 정당의 위상과 선거운동 전략
현대 민주사회에서 정당은 필수적이다. 신분과 특권이 아니라 이념, 정책에 의해 다수의 지지를 이끌어 내는 정당은 근대 민주주의의 중요한 기반이다(강원택, 2018: 6). 정당은 유권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입법을 가능하게 하며, 권력지향을 통해 정권을 획득함으로써 국가 통치를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정당은 다원적 이해관계를 조율하고 다수결로써 권력을 정당화하며 정부가 공익에 부합하도록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양당제는 두 개의 주요 정당이 정치권력을 번갈아가며 점유하는 정당체계이다. 따라서 양당제 하에서는 주기적으로 정권교체가 이루어진다. 양당제 하에서도 군소정당은 존재하지만 정권 형성에는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못한다. 공화당과 민주당으로 구성된 미국의 정당체계가 대표적인 양당제이며, 선거제도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단순다수제(FPTP: First-past-the-post voting) 등 승자독식 선거제도와 잘 결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양당제는 비교적 안정적인 정부와 함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지만 공식적으로 증거에 의해 입증된 사례는 없다(Blondel, 1968: 182).
다당제는 세 개 이상의 정당이 존재하며, 어느 한 정당도 독자적으로 권력을 장악하지 못하여 연합정부가 매우 빈번히 나타나는 정당체계이다. 다당제 하에서는 여러 정당들이 존재하고 그들의 합의에 따라 정권형성에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에 양당제 하에서의 군소정당 개념은 약화된다. 다당제는 권력 분점과 합의적 통치를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단독정부보다는 연합정부가 일반적이다.
한국의 경우 민주화 이후 양당제가 고착화되었다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인 견해이다(강원택, 2018; 장훈, 2003; 허유정 · 윤광일, 2021). 정당체계 측면에서는 권위주의 시기뿐만 아니라 민주화 이후 3당 합당과 함께 양당제를 통한 경쟁의 틀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언급한 단순다수제 중심의 선거제도와 대통령제라는 정부 형태의 특성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볼 수 있다(강원택, 2018: 26). 물론 한국 정당사에서도 의미 있는 선거 결과를 얻고 의회에 진출하는 제3정당이 반복적으로 등장했지만 이는 개별 선거에서의 일시적인 약진일 뿐 정당체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정당체계는 공고한 양당제가 유지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허유정 · 윤광일, 2021: 35).
아울러, 의회운영의 기본원리인 교섭단체 제도 역시 거대 정당이 우위를 확보하는데 유리한 제도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데(박경미, 2007: 20), 현 제도가 거대정당이 선거에서 통일된 기호를 부여받고 국고보조금 배분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음선필(2012)은 현행 국고보조금제도가 정당정치에 미친 부정적 효과로 기존 거대정당의 고착화와 신생정당의 등장에 대한 진입장벽의 구축을 들고 있으며, 무엇보다 교섭단체기준과 의석수기준에 따른 국고보조금 배분방식은 기존 거대 정당 중심의 정당체제를 고착화하며 이에 도전할 수 있는 신생정당의 진입을 사실상 배제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음선필, 2012: 161).
양당제의 고착화로 인한 거대 정당의 탄생은 선거 국면에 있어 여러 방면에서 유리하게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선거운동에 있어서 정당의 규모와 조직력은 후보자의 당선 가능성뿐만 아니라 선거운동의 효율성과 자원의 동원 능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아울러, 거대 정당은 대통령 궐위선거와 같은 갑작스런 외부 충격에도 상대적으로 풍부한 인적 및 물적 자원을 통해 선거운동 전략 수립과 실행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반면, 군소정당은 그러한 인적, 물적 자원들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선거기간 단축이라는 외부 압력(pressure) 하에서도 정당 간의 전략 변화 정도는 상이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는 전략 변화가 정당 자체의 구조적 역량에 따라 차별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 지점이 된다. 다만, 대통령 궐위선거와 같이 예외적인 선거 상황에서 정당 규모에 따른 전략 변화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의 공백을 메우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4. 연구가설 설정
대통령 궐위선거는 정상적인 임기 만료에 따른 선거와 달리 예측하지 못한 외생적 충격에 의해 치러지는 선거다. 따라서 짧은 준비기간에 따른 인지도 상승의 기회 제한 등이 맞물리며 군소정당 후보자의 선거운동 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1 : 대통령 궐위선거 시, 군소정당 후보자는 거대정당 후보자보다 선거운동전략(선거비용의 항목별 비중)을 더 크게 변화시킬 것이다.
대통령 궐위선거 시, 군소정당 후보자는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는 조직 및 인적 자원,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단기간 내 높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선거운동 방법을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따라서 기존 선거운동 전략을 유지하기보다는 선거비용의 항목별 지출 비중을 조정하여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전환을 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거대정당 후보자는 이미 전국적 조직망, 풍부한 국고보조금, 당원 등 지지기반을 보유하고 있어 선거기간이 단축되더라도 기존의 선거운동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득표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선거비용 구조를 급격히 변화시킬 유인이 매우 낮으며 오히려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비교우위 전략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통해 궐위선거 시 군소정당 후보자가 거대정당 후보자보다 선거비용 항목별 비중 등 선거운동전략을 더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이 도출되는 것이다.
가설 2 : 대통령 궐위선거 시, 군소정당 후보자는 오프라인 유세보다는 파급력이 높은 온라인 유세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입할 것이다.
궐위선거에서는 60일 이라는 굉장히 짧은 기간 내에 대중적 인지도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인지도가 낮은 군소정당 후보는 비용 대비 인지도 상승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온라인 매체(소셜미디어, 인터넷 광고 등)에 집중하여 비용을 투입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거대정당 후보는 이미 높은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본인의 지지도가 낮거나 상대와 경합인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대면 선거운동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유세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입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가설 3 : 대통령 궐위선거 시, 군소정당 후보자는 거대정당 후보자에 비해 유권자와의 대면 접촉을 상대적으로 많이 줄일 것이다.
대통령 궐위선거는 통상적인 임기만료에 의한 대통령선거에 비해 선거기간이 급격히 단축되기 때문에 후보자들은 제한된 시간과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해야 하는 압박을 받는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은 특히 조직력과 재정적 기반이 취약한 군소정당 후보자들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거대정당 후보자들은 이미 구축된 전국적 조직망과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대면 유세나 지역 방문을 지속할 수 있는 반면, 군소정당 후보자들은 효율성 높은 방식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에 군소정당 후보자들은 직접 접촉이 요구되는 오프라인 유세보다는 상대적으로 저비용, 고효율의 온라인 홍보나 미디어 노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III. 연구설계
1. 분석자료와 분석대상
본 연구에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http://info.nec.go.kr)에서 제공하는 최근 선거 관련 자료를 기본 분석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종속변수인 선거비용(항목별 지출 비중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고 아울러 선거운동 관련 자료 역시 분석에 필요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공직선거 통계자료뿐만 아니라 선거관리위원회 결과보고서, 국회제공자료, 언론 보도자료 등도 참고할 예정이다. 한편, 통제변수로 포함되는 당원 수, 국고보조금 규모, 정당 재산 규모 등의 자료는 정당의 자체 자료를 기반으로 해야 할 것이며 이는 언론기사 및 선행연구, 정보공개 청구 등을 통해 수집할 계획이다.
2. 분석의 범위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부터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까지이다. 해당 기간 동안 공직선거법, 정당법, 정치자금법 등은 큰 틀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며 선거운동 규제의 기본 구조 역시 변동이 없었다. 두 선거 모두 거대정당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합산 득표율이 90%를 넘는 반면, 군소정당인 정의당, 진보당,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등의 득표율은 10% 이하 수준에 머물렀다.
분석 기간을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와 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로 한정한 이유는 두 선거 모두 동일한 법적, 제도적 환경 하에서 치러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거운동 규제, 정치자금 사용, 정당 등록 및 후보자 요건 등 주요 제도적 요인이 유지되었고 따라서 선거기간의 축소와 그로 인한 후보자 간 전략 변화에 대한 비교 분석이 가능해졌다. 아울러 이 기간의 선거에서는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라는 거대정당이 전체 득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양당 중심 구도가 공고히 유지되었고, 정의당, 진보당,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등 군소정당의 득표율은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이러한 정치적 맥락은 선거기간의 제약이 정당 간 선거운동 전략과 유권자 접촉 방식에 미친 영향을 명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3. 분석모형 및 측정
본 연구는 대통령 궐위선거를 중심으로 처치군(군소정당 후보자)과 통제군(거대정당 후보자)을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집단 간 구조적 차이로 인한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당원 수, 국고보조금 규모, 정당 재산 규모 등의 통제변수를 고려하여 분석모형을 설계하였다. 독립변수는 대통령 궐위선거로 인한 시간적 압박으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선거비용 항목별 비중 변화, 선거운동 방식(온라인 및 오프라인 비중) 등의 조정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독립변수, 통제변수, 종속변수를 종합한 분석모형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분석 모형
4. 분석방법
궐위선거라는 외부충격 전에는 거대정당과 군소정당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만약 제21대 대선이 궐위선거가 아닌 임기만료에 따른 정상적인 선거로 2027년에 실시되었다면 그 경향은 계속 유지되었을 것이라는 평형 추세 가정(parallel trends assumption)을 하고 있다. 이 가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과거 정상적인 선거였던 2012년 제18대 대선과 2022년 제20대 대선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로 거대정당과 군소정당 간 전략 변화 양상이 시간에 따라 유사한 추세를 보여왔는지를 사전에 확인할 것이다.
이중차분법(DID)의 기본 논리를 설명하면 아래 <그림 2>와 같다. 군소정당의 제21대 대통령 궐위선거 결과 O2, 제20대 대통령 임기만료 선거 결과 O1, 거대정당은 유사하게 각각 O4와 O3이다. 따라서 대통령 탄핵으로 60일내 대통령 선거 실시 전후의 군소정당 차이는 O2 – O1이 되고, 거대정당 차이는 O4 – O3이 된다. (O2 – O1)에는 “군소정당과 거대정당의 공통변화”와 “군소정당만의 고유변화”가 영향을 줄 것이며, (O4 – O3)에는 “군소정당과 거대정당의 공통변화”와 “거대정당만의 고유변화”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때 군소정당과 거대정당의 궐위선거 실시 전후의 간접적인 차이는 (O2 – O1) - (O4 – O3)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2>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기본 논리
이중차분법(DID)은 (O2 - O1) - (O4 - O3) 단순평균분석에 의해서 추정할 수도 있고, 인과관계를 보다 엄격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통제변수를 포함한 회귀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설에 따라 차등을 두어 단순평균분석으로 가능한 경우는 단순평균분석으로, 회귀분석으로 수행할 때 타당성이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회귀분석으로 분석을 수행하려 한다. 후자의 경우 아래의 식(1)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 궐위선거라는 정치적 사건이 야기하는 시간적 압력(pressure)에 상대적으로 크게 노출되는 군소정당 후보자를 처치군으로, 이에 비해 영향이 적은 거대정당 후보자를 통제군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대통령 궐위선거 시행 전후를 구분하는 시간 더미 변수와 정당 위상을 반영한 집단 변수, 그리고 이 둘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회귀모형을 통해 대통령 궐위선거가 후보자의 선거운동 전략에 미친 영향을 추정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가상준 · 윤종빈. (2009). 정당정치와 책임정당정치. 한국과 국제정치, 25(1), 33-60.
강원택. (2018). 한국 정당 정치 70 년: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정당 정치의 전개: 한국 민주주의 발전과 정당 정치의 전개. 한국정당학회보, 17(2), 5-31.
곽진영. (2006). 민주화 이후 한국사회와 정당체계 :변화 아니면 결빙?. 의정연구, 12(2), 109-134.
노기우 · 이현우. (2019).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체계는 불안정한가?: 유효 정당 수와 선거 유동성 세분화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8(4), 5-35.
박경미. (2006).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정치의 경쟁구조 - 의제설정자의 등장과 의회정치의 지배구조. 사회연구, 7(1), 113-141.
_____. (2007).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교섭단체제도와 정당경쟁. 한국정당학회보, 6(1), 5-26.
박성호 · 최선. (2018). 한국 국회의원 선거의 후보자 요인. 미래정치연구, 8(1), 87-115.
음선필. (2012). 정당 정치자금의 투명성 강화 방안. 홍익법학, 13(4), 145–184.
_____. (2016). 소수정당과 선거운동 - 입법론적 검토 -. 입법학연구, 13(1), 89-115.
장 훈. (2003). 카르텔 정당체제의 형성과 발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경우. 한국과 국제정치, 19(4), 2-59.
허유정 · 윤광일. (2021). 한국 정당체계의 연속성: 법-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 11(2), 33-70.
Blondel, J. (1968). Party Systems and Patterns of Government in Western Democracies. Canad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Revue Canadienne de Science Politique, 1(2)
Enos, R. D., & Fowler, A. (2018). Aggregate Effects of Large-Scale Campaigns on Voter Turnout. Political Science Research and Methods, 6(4), 733–751.
Farrell, D. M., & Schmitt-Beck, R. (Eds.). (2003). Do political campaigns matter?: campaign effects in elections and referendums. Routledge.
Kamada, Y., & Sugaya, T. (2020). Optimal Timing of Policy Announcements in Dynamic Election Campaign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5(3), 1725–1797.
Le Pennec, C., & Pons, V. (2023). How do Campaigns Shape Vote Choice? Multicountry Evidence from 62 Elections and 56 TV Debate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38(2), 703–767.
Norris, P. (2000). Democratic divide. The impact of the internet on parliaments worldwide, 14, 317.
Panagopoulos, C. (2013). Campaign duration and election outcomes. Politics and Governance, 1(1), 66-73.
Sartori, G. (1976). Parties and party systems: Volume 1: a framework for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Stevenson, R. T., & Vavreck, L. (2000). Does campaign length matter? Testing for cross-national effects.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0(2), 217-235.
ACE Electoral Knowledge Network. (n.d.). Electoral campaigns. ACE Project. https://aceproject.org/main/english/ei/eie09.htm
< 2025. 6. 26. 제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