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투표를 하도록 하려면


내년에는 지방선거가 있다. 내 지역 일꾼을 뽑는다는 의미에서 보면 가장 내 삶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사람을 뽑는 선거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관심은 크지 않다. 국가의 원수인 대통령,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에 비해 정작 주민의 대표인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을 뽑는 데는 무관심하기 일쑤다.


이를 반영하듯 지방선거 투표율은 항상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2014년 56.8%, 2010년 54.5%, 2006년 51.6%였다. 지역 일꾼을 뽑는 선거 치고는 매우 낮은 수치이다. 그중 30~40% 표를 얻어 당선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보면 실제 전체 주민 대비 지지율은 15~20% 정도라고 보인다. 10명 중 1~2명 주민의 지지를 받은 대표가 진짜 대표일지 의문이 들기도 한다.


대표성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간단히는 두 가지 정도 방법이 있을 것이다. 하나는 결선투표제이고, 다른 하나는 투표율 제고이다.


결선투표제는 프랑스 대통령 선거가 대표적이다. Runoff-voting 이라고 불리는 결선투표제는 선거에서 '일정 득표율 이상'이 당선 조건일 때(일반적으로 과반수), 이를 만족하는 후보가 없을 경우에 득표수 순으로 상위 후보 몇 명만을 대상으로(일반적으로 2명) 2차 투표를 실시하여 당선자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2회 투표제 two-round system 이라고도 불린다.


지난 대통령 궐위 선거에서 안철수, 심상정 후보가 도입을 주장하여 많은 국민들에게 알려지기도 하였다.(기사 참고) 하지만 이에 대해 대통령 선거에 도입할 경우 헌법에 위반된다는 의견과 선거법 개정으로 가능하다는 의견이 대립하여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기사 참고) 하지만 지방선거의 경우 선거법 개정으로도 가능하므로 논의가 진전될 수 있으나 모든 정당의 이해관계가 다르다는 점에서 쉽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민의당은 추진 예정)


그렇다면 투표율 제고는 어떨까. 지방선거 투표율은 낮았지만 지난 대통령 궐위 선거(77.2%)에서 보듯 상승의 여지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보인다. (OECD '더 나은 삶의 지수'에서도 투표율은 37개국 중 11위에 해당) 하지만 단기간에 온 국민의 이목이 집중되는 대통령 선거만큼 투표율을 높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점진적인, 그러면서 근본적인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